청산별곡(靑山別曲): 내 엉터리 해석
원문
(1)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靑山)애 살어리랏다.
(2)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3)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쟝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4)
이링공 뎌렁공 야 나즈란 디내와 숀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 호리라.
(5)
어듸라 더디던 돌코, /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 마자셔 우니노라.
(6)
살어리 살어리랏다. / 바래 살어리랏다.
나마자기 구 조개랑 먹고, / 바래 살어리랏다.
(7)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사미 짐ㅅ대예 올아셔 / 해금(奚琴)을 혀거를 드로라.
(8)
가다니, 배브른 도긔 / 설진 강수를 비조라.
취조롱 곳 누로기 와 / 잡와니 내엇디 리잇고.
(후렴)
얄리얄리얄랑셩 얄라리 얄라
(내 엉터리 현대 말 번역)
(1)
살리라 살리라 청산에 살으리라.
머루 다래 먹고 청산에서 살리라.
(2)
울어라 울어라, 새야 자고 깨어 울어라, 새야
너보다 설움 많은 나도 자고 깨어 운단다.
(3)
날아가는 날아가는 새. 물 아래에 날아가는 새 본다.
이끼 묻은 쟁기 가지고 물 아래 날아가는 새를 본다.
(4)
이리 저리 하며 낮은 지내 왔지만
올사람 갈사람 없는 외로움 밤은 어찌 하려나.
(5)
어디에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으니 (그 돌에 내가) 맞아서 우노라.
(6)
살리라 살리라 바다에 살리라.
나문재(해초)와 굴과 조개 먹고 바다에 살리라.
(7)
가다 가다 듣는다, 밥해 먹으러 가다 듣는다.
사슴 장대에 올라가서 깽깽이 켜는 것을 듣는다.
(8)
가다가 불룩한 술독에 술을 빚는다.
독한 술에 취하니 난들 어찌하리오.
나의 엉터리 해석
(1) 사람이 모인 도시에서 크게 실패해서 산에 가서 살려고 한다
(2) 울며 길을 떠나면서 새가 우는 것을 듣는다. 새야 너도 울고 나도 울고
(3) 아마도 산골에 도착한 듯. 밭을 갈아야 하는데 의욕이 전혀 없다.
어찌나 오래 쓰지 않았는지 쟁기에는 이끼가 끼어있다.
겨우 일하겠다고 쟁기 가지고 나와서는 연못 물가에 멍하니 앉았다.
날아가는 새 그림자가 물에 비친다 그것을 하염없이 바라 보고 있다.
(4) 마음 아픈 사람 외로움도 많다. 사랑하던 사람도 떠나간 밤 외로움에 어쩔 줄 모른다.
(5) 이사람 저사람 미워하고 원망하나 결국은 내가 못나 그렇다고 생각하니 홀로 서럽다
(6) 산에 사는 것도 싫다(의욕이 없으니 어딘들 좋겠는가?) 바다로 간다.
(7) 길을 가다가 밥이나 해먹을 까 하는데.
내가 평소에 사슴처럼 나보다 훨씬 못났다고 생각했던 자가 출세를 해서
(금수저인가? 아부/불의/부정 했겠지?)
장대 위에서 깽깽이를 켜며 잘났다고 자랑한다. 참 기분 나쁘다.
저놈은 나보다 머리도 나쁜 놈인데 부모 잘 만나(금수저)라서,
아부 잘 떨어서 출세해서
저 잘난 듯이 높은 데 올라서서 온갓 자랑 다해 대는데
아- 난 뭐냐? 이런 생각.
(
일본어는 바보를 바가(ばか)라고 하는데
“바가”를 한자로 쓰면 (馬鹿) 즉 말과 사슴 이 된다.
사슴을 바보, 멍청이로 말하는 나라는 일본인데
고려시대에도 사슴이 바보를 뜻했는지는 모르겠다.
여기서는 사슴을 바보 그러나 약삭빠른 자로 풀이하면 이해가 된다.
)
(8) 술에 자신을 빠트린다.
고려 가요.
매우 염세적입니다 비관적이고 우울합니다.
아마 고려시대에도 염세주의적인 생각이 서민 사이에 많이 퍼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세상살이 (출세)도 실패하고
사랑에도 실패하고
속세를 떠나 살고 싶은 사람(남자)의 심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디에도 마음의 평화는 없습니다.
몸이 속세를 떠나도 마음의 미련은 속세를 떠나지 못한 까닭입니다.
오늘날의 우리를 보는 것 같습니다.
한국 민족 한이 서려있는 노래.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는 적절치 않으나
한국 사람의 속 어딘가 서려있는 생각입니다.
요새 젊은이들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만.
이런 노래는 시대에 따라 나라에 따라 많이 있습니다.
물론 느낌은 노래마다 다 다릅니다.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에서는
아무리 고향으로 돌아 와도 죽은 해골 같은 운명적인 삶을 나를 따라 다니고
Schubert의 겨울 나그네는
사랑하는 소녀에게 버림을 받고 겨울 밤에 몰래 떠나며 보리수 곁을 지나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 슬픈 미련이 남아 자살이라도 하고 싶고
우편 마차를 볼 때마다 가슴이 떨립니다. (그녀가 내게 소식을 전하나?)
반면에
John Denver의 노래는 밝고 희망차게 Country Road로 달려갑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노래라서 그런지 박재홍의
“유정천리”가 “청산 별곡”과 비슷한 우울한 느낌입니다.
이노래 자유당 3.15 부정 선거 때 대학생들이 패러디해서
불렀습니다.
박재홍의“유정천리” 1959년
1. 가련다 떠나련다 어린 아들 손을 잡고
감자 심고 수수 심는 두메산골 내 고향에
못살아도 나는 좋아 외로워도 나는 좋아
눈물어린 보따리에 황혼 빛이 젖어드네
2. 세상을 원망하랴 내 아내를 원망하랴
누이동생 혜숙이야 행복하게 살아다오
가도가도 끝이 없는 인생 길은 몇 구비냐
유정천리 꽃이 피네 무정천리 눈이 오네
바이 바이 바이 정돈 도시여 굳바이
나 두고 온 집이 있단다
라디오 티비도 없고 신문 잡지도 없고
전화 한 통 걸려오지 않는 아주 한적한 곳에
논 갈고 밭가는 나의 진짜 집으로 나 돌아간다
도시여 안녕
빌딩도 인파도 없고 공해도 소음도 없고
열쇠하나 사용하지 않는 아주 단촐한 곳에
촛불하나 밝히는 나의 진짜 집으로 나 돌아간다
도시여 안녕
(1)
Almost heaven, West Virginia
Blue Ridge Mountains, Shenandoah River
Life is old there, older than the trees
Younger than the mountains, blowing like a breeze
(Chorus)
Country roads, take me home
To the place I belong
West Virginia, mountain mamma
Take me home, country roads
(2)
All my memories gather round her
Miner’s lady, stranger to blue water
Dark and dusty, painted on the sky
Misty taste of moonshine, teardrops in my eyes
(Bridge)
I hear her voice in the morning hour she calls me
The radio reminds me of my home far away
Driving down the road I get a feeling
That I should have been home yesterday, yesterday